반응형 철학5 윤 대통령 구속에도 국민의 힘 지지율이 상승하는 이유 윤석열 대통령이 내란우두머리 혐의로 구속이 되었는데도 불구하고 국민의 힘의 지지율이 떨어지기는커녕 오히려 상승하고 있습니다. 왜 국민의 힘 지지율이 오르는지에 대해서 저의 개인적인 생각을 쉽게 포스팅을 합니다. 생존 욕구와 자기 이해보수의 뇌 - 생존 욕구가 강하다.진보의 뇌 - 자기 이해가 강하다.국민의 힘에서 배출한 윤석열 대통령이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구속된 상항에도 불구하고 국민의 힘 지지율이 올라가는 현상에 대해서 이해하기 위해서는 보수와 진보의 뇌에 대해서 이해가 필요합니다. 뇌는 생존을 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하며 진화되어 왔지만 뇌가 특수하게 진화되면서 생존이 아닌 자기 이해라는 일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자기 이해란 나는 누구지, 왜 내가 존재하는 거지, 어떻게 사는 것이 옳은 삶이지, 등에.. 철학 2025. 1. 20. 나에게, 무시하거나 함부로 대하는 사람 대처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나를 무시하거나 나에게 함부로 대하는 사람에 대해 어떻게 대처를 해야 되는지에 대한 저의 경험을 포스팅으로 담아보겠습니다. 나를 무시하거나 함부로 대하는 사람에게는 친절하게 대하지 말자상대방의 부탁을 거절하자연락처를 지우고 거리감을 두자 저에게 함부로 대하는 사람이 있는데 그 사람의 부탁을 거절했고 , 연락처를 지우면서 거리감을 두었더니 저에 대해서 무시하고 함부로 대하는 그 사람의 태도가 180도 바뀐 경험을 하게 되었습니다. 경험담을 이야기하자면 회사에서 평소의 자신이 해야 될 일을 많이 부탁하시는 부장님이 계셨는데요. 저는 부장님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부탁을 거절하지 않고 많이 도와 드렸어요.부탁을 계속 들어주다 보니.. 어느 순간부터는 부탁이 아니라 제 일이 되어 버렸.. 철학 2024. 11. 21. 유시민 작가의 침팬지 폴리틱스 강의를 듣고 안녕하세요. 유시민 작가가 유튜브 시사채널 에 출연하여 침팬지 폴리틱스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는데요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유시민 작가의 침팬지 폴리틱스 강의에 대한 내용을 담아보겠습니다. 침팬지 폴리틱스에서 답을 찾았다.옛날 중국에는 사마천이라는 학자가 있었는데요. 하나의 의문을 풀지 못한 채 눈을 감으셨다고 합니다. 사마천이 풀지 못한 의문은 하늘이 존재하는가?입니다. 사마천은 나쁜 짓을 일삼는 악당들은 떵떵거리면 잘 살아가는 반면 선한 사람들은 악당들에게 당하여 힘든 여생을 살아가는 것을 보고 하늘이 과연 존재하는 가라는 의문을 품었다고 합니다. 사마천이 풀지 못한 답을 현대 사회 생물학자들이 침팬지를 연구하면서 풀었다고 합니다. 침팬 치는 인간과 99 퍼센티 유전자가 같다고 합니다. 그.. 철학 2024. 11. 10. 싸가지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비싸입니다. 오늘은 날씨가 참 좋은 월요일 아침입니다. 오늘은 싸가지에서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다른 사람을 배려 안 하고 지 마음대로 행동하는 사람들을 보면 싸가지 없는 놈, 이런 말을 쓰잖아요. 저도 어떤 의미인지 몰라서 알아보니 싸가지에는 인간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도리 유교적 철학이 담겨 있더라고요 좋은 의미를 담고 있어서 공유하고자 포스팅을 합니다. 싸가지 의미 유교에서는 사람이 갖추어야 할 기본 덕목 다섯 가지가 있는데요 이를 오상(五常)이라고 하고 오상(五常)에는 인. 의. 예. 지. 신이 있습니다. 싸가지 없다는 말은 오상(五常)에서 신을 뺀 인. 의. 예. 지. 4가지가 없다는 말입니다. 오상에 대해서 하나하나 알아보겠습니다. 인은 (仁) 어질 인이고 측은지심(側隱之心)을 뜻하.. 철학 2023. 4. 17. 노블레스 오블리제 vs 푸어 오블리제 이야기에 앞서 아래에 나오는 용어나 생각들은 필자의 개인적인 생각이라는 것을 말씀드립니다. 노블레스 오블리제는 사회적 지위나 권력의 걸맞은 도덕적 책임감을 가져라는 말인데요 이러한 지도층의 요구되는 높은 도덕적 책임감이 모범사례가 되어 우리 사회에 시민의식이나 도덕성을 높인다는 개념입니다. 위에서부터 아래로 선한 영향력이 전달되는 구조의 노블레스 오블리제와 반대로 푸어 오블리제는 아래에서 위로 선한 영향력이 퍼지는 개념입니다. 어느 쪽이 우리 사회에 시민의식 또는 질서, 도덕성을 더 성장을 시킬까요? 푸어 오블리제란 사회적으로 지위나 권력이 없는 일반 시민의 도덕적 책임감이며 이러한 도덕성이 사회를 변화시킨다는 개념인데요 아래에서부터 위로 선한 영향력이 퍼지는 것입니다. 권력이 없고 힘이 없는 사람들의 .. 철학 2023. 3. 27. 이전 1 다음 반응형